부동산의 수요와 공급의 정의를 알아보고,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 곡선상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 또한, 수요량·공급량의 변화 요인과 수요·공급 변화 요인을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1. 부동산의 수요
2. 부동산의 공급
1. 부동산의 수요
수요란, 일정기간 또는 시점에 사람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합니다. 수요를 정의할 때 일정한 기간을 전제로 하는 개념을 유량이라고 하며, 일정시점을 전제로 하는 개념을 저량이라고 합니다. 구매력이 뒷받침된 수요를 '유효수요'라고 합니다.
수요곡선과 수요의 법칙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어떤 한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은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은 증가합니다.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이러한 반비례 관계를 '수요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해당 재화의 가격이 많이 오르면 재화에서 얻는 편익보다 비용이 더 크므로 구입을 포기하고, 다른 재화를 구입하므로 이러한 수요의 법칙이 성립합니다.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반비례 관계를 나타낸 것을 '수요곡선'이라고 합니다. 수요곡선의 형태는 우하향의 모습을 갖습니다.
수요량의 변화
해당 재화의 가격변화에 의한 수요량의 변화를 말하며, 수요곡선상의 어느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수요의 변화
해당 재화의 가격 이외의 다른 요인의 변화에 의한 수요량의 변화를 '수요의 변화'라고 하며, 수요곡선 자체의 이동으로 나타납니다.
수요변화의 요인
소비자의 소득, 다른 재화의 가격변화, 소비자의 가격예상, 그 밖의 수요변화 요인(소비자의 소득, 다른 재화의 가격변화, 소비자의 가격예상, 그 밖의 수요변화 요인)이 있습니다.
1. 소비자의 소득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정상재'라고 하고,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그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열등재'라고 합니다.
2. 다른 재화의 가격변화
용도 간에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재화들을 '대체재(ex.사과와 배, 커피와 녹차, 콜라와 사이다)'라고 하며, 함께 소비할 때 더 큰 만족을 얻는 재화들을 '보완재(ex. 커피와 커피크림, 자동차와 휘발유)'라고 합니다.
3. 소비자의 가격예상
어떤 재화의 가격이 가까운 장래에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가격이 상승하기 전에 그 재화를 보다 많이 사두려 하기 때문에 그 재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이를 '가수요'라고 합니다.
4. 그 밖의 수요변화 요인
소비자의 기호 변화, 소비자의 수, 경기 전망, 금리의 수준, 부동산에 대한 조세, 재산 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2. 부동산의 공급
공급이란, 일정기간 또는 시점에 사람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판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합니다.
공급곡선과 공급의 법칙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이 감소합니다. 이와 같은 비례관계를 '공급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재화의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비례관계를 좌표축상에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공급곡선'이라 부르며, 우상향의 모양을 갖습니다.
공급량의 변화
해당 재화의 가격의 변화에 의한 공급량의 변화를 말하며, 공급곡선상의 어느 한 점에서 다른 한 점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공급의 변화
해당 재화의 가격 이외의 다른 요인의 변화에 의한 공급량의 변화를 말하며, 해당 재화의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으로 나타납니다.
공급변화의 요인
생산요소 가격의 변화, 기술수준의 변화, 공급자의 예상, 그 밖의 공급변화 요인이 있습니다.
1. 생산요소 가격의 변화
생산요소 가격이 하락하여 생산비가 낮아지면 해당 재화의 공급이 증가하여 공급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합니다.
2. 기술수준의 변화
동일한 규모의 생산요소를 사용하여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해당 재화의 공급이 증가하여 공급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합니다.
3. 공급자의 예상
공급자가 어떤 재화의 가격이 가까운 장래에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가격이 상승한 후에 그 재화를 공급하려 하기 때문에 그 재화에 대한 공급이 감소합니다.
4. 그 밖의 공급변화 요인
공급은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 조세 및 보조금, 공급자의 수, 금리의 수준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습니다.
부동산의 공급
토지는 부증성의 특성이 있으므로 물리적인 공급이 불가능하나, 건물은 물리적인 공급이 가능하고 토지의 경우도 경제적인 공급은 가능합니다. 토지의 물리적 공급곡선은 수직선으로 나타나지만, 토지는 용도전환을 통한 공급이 가능하므로 토지의 경제적 공급은 우상향곡선의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단기공급곡선이 장기공급곡선에 비해 경사도가 급한 것은 단기에는 그만큼 공급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기에는 단기에 비해 생산요소의 사용도 쉬워지고, 용도전환도 가능하므로 공급곡선이 완만해집니다.
'공인중개사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의 경기변동 (1) | 2023.07.16 |
---|---|
균형가격, 초과수요, 초과공급, 균형의 변동,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0) | 2023.07.16 |
토지의 자연적 인문적 특성, 건물의 특성 (0) | 2023.07.09 |
부동산의 감정평가상의 용도적 종별, 정착물 유무관계에 따른 분류 (0) | 2023.07.08 |
부동산학 정의, 학문적 성격, 일반원칙, 부동산의 개념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