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부동산학개론

균형가격, 초과수요, 초과공급, 균형의 변동,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갓생헤일리 2023. 7. 16. 02:00
반응형

가격결정, 수요 공급 탄력성

1. 부동산시장의 가격결정 

반응형

(1) 균형가격과 균형량의 결정

① 초과수요 : 일정한 가격 수준에서 사람들이 사고자 하는 시장수요량이 팔고자 하는 시장공급량보다 많아서 재화의 부족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② 초과공급 : 일정한 가격수준에서 사람들이 팔고자 하는 시장공급량이 사고자 하는 시장수요량보다 많아서 재화가 남아돌 때의 잉여분을 말합니다. 

③ 균형 : 조정 과정을 거쳐 일정한 가격 수준에서 시장수요량과 시장공급량이 일치하여 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수량을 사고파는 것을 말합니다. 

 

(2) 시장균형의 변동

① 수요의 변화와 균형의 변동 : 공급이 일정한 상태에서  수요가 증가하였을 경우에는 초과수요가 발생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균형량이 증가합니다. 

② 공급의 변화와 균형의 변동  : 수요가 일정한 상태에서 공급이 증가하였을 경우에는 초과공급이 발생하여 가격이 하락하고 균형량이 증가한다. 

 

2.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1) 수요의 가격탄력성

① 개념 

가격의 변화라는 자극에 대해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의 정도를 측정한 것을 말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가격의 변화율을 분모에 놓고 수요량의 변화율을 분자에 놓아 구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나타낼 때에는 음의 부호를 무시하고 절댓값으로 나타냅니다. 

 

②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종류

 ⓐ 완전비탄력적 : 가격이 아무리 변해도 수요량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면 수요량의 변화율이 '0'이 되며,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0'인 경우를 말합니다. 

 ⓑ 비탄력적 :  수요량의 변화율이 가격의 변화율보다 작아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은 경우를 말합니다. 

 ⓒ 단위탄력적 :  한 상품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이 가격의 변화율가 같아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인 경우를 말합니다. 

 ⓓ 탄력적 :  한 상품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이 가격의 변화율보다 커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큰 경우를 말합니다.

 ⓔ 완전탄력적 : 아주 미미한 가격변화가 아주 큰 수요량의 변화를 초래한다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무한대 값을 갖게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③ 수요의 탄력성과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 :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은 그 상품에 대한 시장수요량에 가격(임대료)을 곱한 값입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인 경우, 가격이 상승하면 가격의 상승률보다 수요량의 감소율이 더 크게 되어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 경우 가격이 상승하면 가격의 상승률이 수요량의 감소율보다 더 크게 되어 임대료총수입은 증가합니다. 

 ⓐ 수요의 탄력성이 탄력적일 때 가격이 하락하면 임대료총수입은 증가합니다. 

 ⓑ 수요의 탄력성이 비탄력적일 때 가격이 하락하면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합니다.

 ⓒ 수요의 탄력성이 단위탄력적일 때 가격이 하락하면 임대료총수입은 불변입니다.

 

④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 

 ⓐ수요의 탄력성은 대체재가 많을수록 크며, 적을수록 작습니다. 부동산시장의 수요는 비탄력적인 편에 속합니다.

 ⓑ수요의 탄력성은 측정기간이 길어질수록 대체재가 많아져서 탄력적이 됩니다. 

 ⓒ주거용 부동산이 다른 부동산에 비해 더 탄력적입니다. 부동산의 용도전환이 쉬울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커집니다. 

 ⓓ필수재는 보다 비탄력적이고, 사치재는 보다 탄력적입니다. 

 

(2) 공급의 가격탄력성

①개념  :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눈 값이다. 

②장·단기 공급곡선과 탄력성 : 단기공급곡선은 비탄력적이고, 장기공급곡선은 탄력적입니다. 

 

(3)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교차탄력성 

① 수요의 소득탄력성

 ⓐ 개념 : 수요량의 변화율을 소득의 변화율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재화 :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는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양(+)의 값을 가지며 정상재이고,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는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음(-)의 값을 지니며 열등재입니다. 

 

② 수요의 교차탄력성

 ⓐ 개념 : 한 상품의 수요가 다른 연관 상품의 가격변화에 반응하는 정도를 측정한 값입니다. 

 ⓑ 수요의 교차탄력성과 재화 :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양(+)의 값을 가지면  X재와 Y재는 대체재 관계에 있으며,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음(-)의 값을 가지면 두 재화는 보완재 관계에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