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인중개사 빠른 합격의 길 함께 해요. 이번 피드에서는 1. 수요의 소득탄력성, 2. 수요의 교차탄력성, 3. 공급의 가격탄력성, 4.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과 균형의 이동 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수요의 소득탄력성
반응형
- 개념 : 소득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의 변화율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수요량의 변화율을 소득의 변화율로 나눈 값이다.
-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재화
1. 수요의 소득탄력성 > 0 :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량이 증가하는 재화 => 정상재 2. 수요의 소득탄력성 < 0 : 소득의 증가에 따라 수요량이 감소하는 재화 => 열등재 3. 수요의 소득탄력성 = 0 : 소득의 변화가 수요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화 => 중립재 |
- 관련 기출문제
Q. 소득이 10% 증가하자 어떤 부동산의 수요량이 8% 증가하였다. 이 사실을 통해 볼 때, 이 부동산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답 : 정상재 |
2. 수요의 교차탄력성
- 개념 : 한 상품의 수요가 다른 연관상품의 가격변화에 반응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 수요의 교차탄력성과 재화
1. 수요의 교차탄력성 > 0 : X재의 가격과 Y재 수요량은 같은 방향으로 변함을 의미 => 두 재화는 대체재 관계 2. 수요의 교차탄력성 < 0 : X재의 가격과 Y재 수요량은 반대 방향으로 변함을 의미 => 두 재화는 보완재 관계 3. 수요의 교차탄력성 = 0 : X재의 가격의 변화가 Y재 수요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 => 두 재화는 독립재 관계 |
- 관련 기출문제
Q. 아파트 매매가격이 16% 상승함에 따라 다세대주택의 매매수요량이 8% 증가하고 아파트 매매수요량이 4% 감소한 경우에, 아파트 매매 수요의 가격탄력성(A), 다세대주택 매매수요의 교차탄력성(B), 아파트에 대한 다세대주택의 관계(C)는? (단,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표시하며, 다른 조건은 불변이라고 가정함) 답 : A - 0.25, B - 0.5, C - 대체재 풀이 : 아파트 수요의 가격탄력성 : 4/16, 다세대주택 매매수요의 교차탄력성 = 8/16 |
3. 공급의 가격탄력성
- 개념 : 한 상품의 가격(임대료)이 변하면 그 상품의 공급량이 변하는데, 그 변화의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가 공급의 가격탄력성이다. 즉,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눈 값이다.
- 공급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
1. 생산비의 증감 유무 : 생산량을 늘릴 때 생산요소 가격이 상승할수록 공급의 임대료탄력성은 더 비탄력적이 된다. 2. 생산기술의 발전 정도 : 생산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상품수록 보다 더 탄력적이 된다. 3. 기간의 장단 : 주택의 단기공급곡선은 장기공급곡선에 비해 더 비탄력적이고, 장기공급곡선은 단기공급곡선에 비해 더 탄력적인 형태를 띤다. 4. 용도전환의 용이성 정도 : 용도전환이 용이할수록 공급이 쉬워지므로 보다 탄력적이 된다. 5.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 :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수록 공급이 어려워지므로 더 비탄력적이 된다. 6. 건축 인허가 등 관련 법규 : 건축 인허가가 어려울수록, 토지이용규제가 엄격해질수록 공급이 어려워지므로 더 비탄력적이 된다. |
4.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과 균형의 이동
4-1.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변화
공급이 증가한 경우 | 공급이 감소한 경우 | ||||
가격 | 균형량 | 가격 | 균형량 | ||
수요의 가격탄력성 | 비탄력적일수록 | 크게 하락 | 작게 증가 | 크게 상승 | 작게 감소 |
탄력적일수록 | 작게 하락 | 크게 증가 | 작게 상승 | 크게 감소 | |
완전비탄력적 | 하락 | 불변 | 상승 | 불변 | |
완전탄력적 | 불변 | 증가 | 불변 | 감소 |
4-2. 공급의 탄력성과 수요의 변화
수요가 증가한 경우 | 수요가 감소한 경우 | ||||
가격 | 균형량 | 가격 | 균형량 | ||
공급의 가격탄력성 | 비탄력적일수록 | 크게 상승 | 작게 증가 | 크게 하락 | 작게 감소 |
탄력적일수록 | 작게 상승 | 크게 증가 | 작게 하락 | 크게 감소 | |
완전비탄력적 | 상승 | 불변 | 하락 | 불변 | |
완전탄력적 | 불변 | 증가 | 불변 | 감소 |
※암기포인트 : 비탄력적이면 가격이 크게. 탄력적이면 가격이 작게. 가격과 균형량은 반대로(많이와 작게 개념이).
반응형
'공인중개사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의 개념과 형태, 부동산시장유형/특성/기능/단기와 장기 [부동산학 개론 요약12] (0) | 2023.10.12 |
---|---|
스태그플레이션, 부동산경기변동, 부동산경기측정, 거미집모형[부동산학개론 요약11] (1) | 2023.10.12 |
수요의 가격탄력성, 부동산 임대료 총수입, 탄력성 측정, 탄력성 결정요인 [부동산학개론 요약9] (0) | 2023.09.28 |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소비자잉여, 생산자잉여, 기출문제 [부동산학개론 요약8] (0) | 2023.09.15 |
공급, 공급량의 변화, 공급의 변화 [부동산학 개론 요약 7] (0) | 202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