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부동산학개론

수요의 가격탄력성, 부동산 임대료 총수입, 탄력성 측정, 탄력성 결정요인 [부동산학개론 요약9]

갓생헤일리 2023. 9. 28. 17:47
반응형

공인중개사 빠른 합격의 길 함께해요! 오늘도 기출에서 다루는 핵심만 쏙쏙 담은 알찬 구성으로 준비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 수요의 가격탄력성 개념, 2. 관련 기출문제, 3. 탄력성의 구분, 4. 탄력성의 측정, 5. 관련 기출문제, 6. 수요의 탄력성과 부동산 임대료 총수입, 7.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 순으로 정리하였습니다. 

가격탄력성

1. 수요의 가격탄력성 개념

 

수요의 가격탄력성
수요의 가격탄력성

  • 수요의 가격탄력성 : 가격의 변화율을 분모에 놓고 수요량의 변화율을 분자에 놓아 구한 것. 
  •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가격이 변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 

cf. 변화율 : 바뀌어 달라지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 ex) 4에서 8로의 변화율은 {(8-4)/4} * 100(%) = 100%

 

반응형

 

2. 수요의 가격탄력성 개념 관련 기출문제 

1. 어느 부동산의 가격이 5% 하락하였는데 수요량이 7% 증가했다면, 이 부동산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답 : 1.4
풀이 : 7/5 = 1.4

2. 어느 지역의 오피스텔 가격이 4% 인상되었다. 오피스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2.0이라면, 오피스텔 수요량의 변화는? (단, 오피스텔은 정상재이고,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나타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답 : 8% 감소. 
풀이 : 수요량의 값을 x라 치면,  l x / 4 l  = 2. 즉, x 는  -8. 문제에서, 오피스텔은 정상재라는 조건을 달았으므로, 가격이 올라가면 수요량은 감소해야 함. 따라서, x값은 마이너스로 봐야 함. 

 

3. 탄력성의 구분

  • 수평선인 경우(D1) => 완전탄력적
  • 수직선인 경우(D2) => 완전비탄력적
  • 직각쌍곡선인 경우(D3) => 단위탄력적
탄력성의 구분
1. 수요량변화율 = 0,  Ed = 0,  완전비탄력적
2. 수요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0 < Ed < 1, 비탄력적
3. 수요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Ed =1,  단위탄력적
4. 수요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Ed > 1, 탄력적
5. 가격변화율 = 0, Ed = ∞, 완전탄력적

 


 

4. 탄력성의 측정

  • 중간점(평균가격)을 기준으로 탄력성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1. 먼저 가격변화율을 구한다. 100 (가격변화차이값 : 400-300) / 400 + 300 = 1/7
  • 2. 다음으로, 수요량변화율을 구한다. 10(수요량 변화 차이 값 : 30-20) / 30 +20 =  1/5
  • 3. 마지막으로, 수요량변화율/가격변화율 값을 구한다. : 1.4

 

5. 탄력성 측정 관련 기출문제 

1. 다음 중 ( ) 안이 올바르게 묶인 것은? (다만, 중간점을 이용하여 계산한 탄력성임)

사무실의 월임대료가 9만원에서 11만원으로 상승할 때 사무실의 수요량이 108m2에서 92m2로 감소했다. 이때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A)이며, 이 수요탄력성을 (B)라고 할 수 있다. 

답 : A 는 0.8, B는 비탄력적. 

풀이 :
  • 1. 먼저 가격변화율을 구한다. 2 (가격변화차이값 : 11-9) / 11 + 9 = 1/10
  • 2. 다음으로, 수요량변화율을 구한다. 16 (수요량 변화 차이 값 : 108-92) / 108 +92 =  8/100
  • 3. 마지막으로, 수요량변화율/가격변화율 값을 구한다. : 0.8

 


 

6. 수요의 탄력성과 부동산의 임대료 총수입

부동산의 임대료 총수입(소비자 총지출액, 기업의 총수입) = 가격(임대료) * 수요량
  • 기업의 총수입은 공급의 가격탄력성과는 관련이 없고 수요의 가격탄력성과만 관련이 있다. 
탄력성 변화율 가격하락 가격상승
Ed >1 수요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임대료 총수입 증가 임대료 총수입 감소
Ed =1  수요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임대료 총수입 불변 임대료 총수입 불변
0<Ed <1 수요량변화율 < 가격변화율 임대료 총수입 감소 임대료 총수입 증가

 


 

7. 수요의 가격탄력성 결정요인

  1. 대체재의 수 : 수요의 탄력성은 대체재가 많을수록 크며, 적을수록 작다. 
  2. 기간의 장단 : 기간이 길어질수록 대체재가 많이 만들어져서 보다 탄력적인 된다.
  3. 재화의 분류범위 : 부동산을 지역별·용도별로 세분하면 탄력성은 커진다.
  4. 재화의 성격 : 상품의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중요성과도 관련이 있는데, 필수재는 보다 비탄력적인 데 비해, 사치재는 보다 탄력적이다.
  5. 재화의 용도 : 부동산에 대한 종류별로 용도가 다양할수록, 용도전환이 쉬울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커진다.
  6.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 소비자가 지출하는 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탄력성은 커진다. 
반응형